반응형 건강탐사75 승모판 협착증과 기능부전증의 원인과 증상 승모판 협착증(mitral stenosis)이란 승모판의 첨두가 점진적으로 두꺼워지고 수축이 되면서 구멍이 좁아져 혈류를 폐쇄하게 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정상적인 승모판의 경우는 손가락 3개 정도가 들어갈 정도로 넓지만 승모판 협착증이 심한 경우라면 연필 1개가 겨우 들어갈 정도로 좁아지게 됩니다. 승모판 협착증(mitral stenosis) 원인과 임상 증상 승모판 협착증의 주요 원인으로는 류마티스성 질환과 점액수종, 승모판에의 칼슘 축적과 혈전 형성을 들 수 있는데요, 급성 류마티스성 심내막염에 의한 판막염은 판막의 퇴축을 가져오면서 승모판 교련부의 유합이 오게 됩니다. 판막이 석회화 되면서 부동화되고 판막 입구는 협소해지고 좌심방으로부터 좌심실로의 혈류 흐름에 장애가 나타나고 좌심방으로부터.. 2022. 12. 8. 심전도란? 정상수치와 동방결절(심박조율기)와 잠재상 심장조율기의 개념 심장의 상대정맥 입구 가까이의 우심방의 상부에 위치한 동방결절은 심박이 시작되는 진원지로써 향도잡이라고도 하는데요, 심방중격 부위에는 방실결절이 있으며 방실결절 아래에는 방 실속이 위치하고 있는데 방실속을 히스근속이라고도 합니다. 동방결절에서 시작한 탈분극 즉 전기적 흥분은 좌우 심방에 전달되면서 심방을 수축시키고, 동방결절에서 시작된 전기적 흥분파가 방실결절을 흥분시켜서 새로이 만들어진 전기적 자극은 방실속을 따라 내려와 심실 중격내에서 좌우의 속가지와 퍼킨지 섬유를 통해 좌우 심실의 심근세포에 전달이 되면, 심실이 수축하게 되는 것이죠, 심실의 수축은 미세한 퍼킨지 섬유가 전기적으로 심근세포를 직접 자극하여 일어나는 현상으로 알려저 있는데요, 전기 흥분의 전달 속도는 동방결절과 방실결절이 0.05m/.. 2022. 12. 4. 파김치 항암효과, 당뇨병과 파, 염증에 좋은 음식 파김치 항암효과, 당뇨병과 파, 염증에 좋은 음식 파김치로 염증과 당뇨병, 암도 다스린다 우리 조상들한테 물려받은 발효음식 중에서 약성이 가장 뛰어난 것 중에 하나가 쪽파로 담근 김치다. 쪽파에 생강, 마늘, 가을새우젓 등을 넣어 김치로 담가서 푹 익히면 쪽파로만 담근 것보다 약성이 수백 배나 더 높아진다. 쪽파김치의 효능을 세 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첫 번째는 면역력을 강화하는 것이고, 두 번째는 염증을 삭이는 것이며 세 번째는 혈액순환을 좋게 하는 것이다. 잘 발효된 파김치는 쪽파와 마늘, 생강에 청양고춧가루와 가을새우젓, 토판염이 한데 어우러져서 숙성되어 갖가지 난치병에 불가사의한 약효를 발휘한다. 잘 익은 쪽파김치는 면역을 강화하는데 가장 좋다. 대부분의 질병은 면역 이상으로 인해 생긴다. 파김.. 2021. 11. 1. 노인성 황반변성 / 당뇨망막병증_눈건강관리 시력손상, 정기검진과 꾸준한 치료로 대비하기 망막은 재생이나 이식이 불가능한 신경조직이기 때문에 한 번 손상이 발생하면 회복되지 않는 시력장애나 실명이라는 치명적 결과로 이어질 수 있다. 여러 망막질환 가운데 성인은 당뇨망막병증, 고령에서는 황반변성으로 실명하는 경우가 많다. 노인성 황반변성 정밀한 시력을 담당하는 망막 중심부인 황반의 기능이 떨어지면서 시력이 감소하거나 상실되는 질환이다. 크게 노인성, 근시성, 특발성으로 나뉘는데, 50세 이상에서 발병하는 노인성 황반변성이 제일 많다. 서구에서는 노인성 황반변성이 60세 이상에서 가장 중요한 실명 원인이며, 고령화의 영향에 따라 국내에서도 환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습성 황반변성으로 진행하면 시력 급속히 저하 크게 비삼출성(건성)과 삼출성(습성)으로 나뉜다. 전체 황반변성의 80-90%를 차지.. 2021. 11. 1. 장내세균 비만 잡는 유익균 VS 비만 유해균 장내세균 비만 잡는 유익균 VS 비만 유해균 우리의 장 속에선 수많은 세균들이 증식하고 있으며, 그 수는 무려 100조 이상이라고 합니다. 현재 세계 인구의 수는 대략 80억이라고 볼 때 그 수 보다 거의 1만배나 많은 세균이 우리의 장 속에서 살고 있다고 할 수 있는 것이죠, 인간이 가진 유전자의 수는 대략 2만 수천개라고 알려져 있지만, 장내세균이 가지고 있는 유전자의 수는 무려 100배나 더 많다고 합니다. 장속의 세균은 우리가 먹는 음식을 이용해 인간에게 유익하거나 경쟁하면서 살아가는 생태계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런 장 속의 세균을 만드는 생태계가 마치 꽃이 만발한 커다란 정원과 같다는 뜻에서 예전에는 장 플로라(intestinal fiora)라고 불리기도 하였으며, 이후에 분자 생물학의 발달로 .. 2021. 10. 20. 사이토카인 폭풍 (cytokine storm) 사이토카인 폭풍 (cytokine storm) 사이토카인 폭풍(영어: cytokine storm)은 인체가 외부에서 침투한 바이러스에 대항하기 위해 과도하게 면역력이 증가해 대규모 염증 반응이 나오는 증상이다. 면역 물질인 사이토카인의 과다 분비로 인해 발열이 과도하게 일어나는 반응이다. 인체를 구성하는 단백질은 40도 이상에서 오랫동안 노출될 경우 단백질 변형이 일어날 수 있고, 그 결과 정상세포가 면역 세포에 의해 공격을 받을 수 있다. 스페인 독감때 엄청난 사망률은 이 사이토카인 폭풍으로 면역체계가 과민 반응을 일으켜 신체조직을 파괴하는 과정에서 생긴 2차 피해가 컸다. H5N1, 즉 조류독감에서도 사이토카인 폭풍 때문에 높은 사망률이 나타났다. 또한 에볼라 바이러스에서도 이 증상이 나타났다. 과학.. 2021. 2. 10. 이전 1 ··· 3 4 5 6 7 8 9 ··· 1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