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역사탐사46

간디의 소금행진_ 비폭력불복종운동의 상징적인 행동 간디의 소금행진_ 비폭력불복종운동의 상징적인 행동 1930년, 간디는 갑자기 소금세법을 어기는 행동을 시작하겠다고 선언하고 나섰는데요, 인도에서 소금은 전매제라 아무렇게나 생산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 1930년 3월 12일, 도장에서 출발한 간디와 제자들은 무려 360km나 이르는 단디해안까지 '소금행진'을 진행합니다. 매일 새벽 4시에 출발하여 행진을 하는 도중 간디는 마을에서 연설을 하여 사람들의 신임을 얻게 됩니다. 그리고 4월 6일, 간디는 소금세법을 어기고 직접 소금을 만들며 인도 전역에서 다시 간다 비폭력불복종운동을 전개하고자 호소하였습니다. 이 사건으로 간디는 다시 체포되는데,, 영국은 인도의 대표를 런던으로 불러 제1회 원탁회의를 열게 되지만 국민회의파는 참석하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인도총.. 2018. 7. 6.
마하트마 간디 업적과 그의 생애에 대한 간단요약 마하트마 간디 업적과 그의 생애에 대한 간단요약 마하트마 간디는 1869년 구자라트 지방 카티아와르반도의 포르반다르라는 토호국의 상인 카스트 집안에서 태어났습니다. 상인 카스트에 속했었지만 간디의 아버지는 조부에 이어 토호국의 재상을 맡고 있었습니다. 간디는 봄베이에서 공부하고 1888년에 영국으로 유학을 가서 1891년에 변호사 자격증을 따고 인도로 귀국하였는데요, 또한 의뢰받은 소송 사건을 위해 1893년에 남아프리카로 건너가게 됩니다. 인도 상인들은 유럽인의 진출로 타격을 받았지만 그래도 인도양 주변에서 무역 활동을 하고 있었는데, 그 중에 한 사람인 구자라트주 줄신의 무슬림 상인이 간디를 고용했던 것입니다. 당시 간디는 머리를 빗어 넘기고 콧수염을 길렀으며, 정장에 넥타이를 맨 점잖은 모습이었다고.. 2018. 7. 5.
형사취수제(兄死娶嫂制)와 문화이론 진화론 VS 전파론 형사취수제(兄死娶嫂制)와 문화이론 진화론 VS 전파론 진수의 "삼국지"에 의하면, 고구려에서는 형사취수제(兄死娶嫂制)라는 매우 특이한 제도가 있었다고 합니다. 이것은 형이 죽으면 동생이 형수와 혼인한다는 것입니다. 위의 사례에 대해 진화론의 입장에서는 당시의 고구려 사회가 적장자상속 단계로 발전하기 전의 사회였음은 보여주는 예라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즉 인간사회의 상속문화는 집단상속에서 형제상속을 거쳐 부자상속으로 발전을 하는데, 당시 고구려는 형이 자신의 여자를 재산과 함께 동생에게 물려주었으니 형제상속 단계에 속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전파론적 입장에서는 북방사회 문화권의 소산으로 이해되는데 중국측의 고대 기록에 따르면, 형사취소제와 같은 관습이 고구려에만 있었던 것은 아니라, 부여, 고.. 2018. 6. 29.
길가메시(Gilgamesh) 서사시_ 우룩의 왕 길가메시(Gilgamesh) 서사시_ 우룩의 왕 " 지금부터 길가메시의 행적을 알리노라. 그는 모르는 것이 없었고, 세상 모든 나라를 알았던 왕이다.슬기로웠으며 신비로운 사실을 보았으며 신들만 알았던 비밀을 알아냈고 홍수 전에 있었던 세상에 대해 우리에게 알여주었도다................. 신들은 길가메시를 창조할때 그에게 완벽한 육체를 주었으니............... 3분의 2는 신이요, 3분의 1은 인간으로 만들었도다............................. 길가메시는 지금으로부터 약 5천년 전인 기원전 3천년경 메소포타미아에 있었던 나라인 우룩의 왕입니다." 길가메시 서사시"는 그의 모험과 사랑, 우정, 죽음을 기록한 장편의 서사시로 점토판에 설형문자라는 독특한 문자로 씌어 있.. 2018. 5. 31.
국보 제83호 금동미륵반가사유상 VS 일본 목조미륵반가사유상 국보 제83호 금동미륵반가사유상 VS 일본 목조미륵반가사유상 문화재들의 가치적인 부분은 상대적이기 때문에 보는 사람마다 다를 수 있지만,자타가 공인하는 최고의 국보가 있습니다. 일본의 교토 고류지(광륭사)에는 유명한 불상이 있는데요, 이른바 목조미륵반가사유상.높이 123cm의 녹나무로 만들어진 이 미륵반가사유상은 서기 7세기경 신라에서 만들어져 일본에전해진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일본에도 국보에 순번이 있던 시절엔 1호로 지정되기도 했었죠, 일찍이 실존주의 철학가인 독일의 칼 야스퍼스는 이 불상을 보고 '인간이 만들어 낸 최고의 예술품이며, 만약 인류가 멸망할때 딱 하나의 예술품만 가져간다면 나는 이 불상을 가져갈 것이다"라고 극찬하였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불상과 마치 쌍둥이 같이 닮은 불상이 우리나.. 2017. 10. 27.
청일전쟁 전개과정과 배경 및 결과 청일전쟁 전개과정과 배경 및 결과 1894년부터 1895년까지 청나라와 일본 사이에서 벌어진 청일전쟁은 이전부터 우리나라에 대해 종주권(지배권)을 주장해오던 청나라와 메이지 유신 이후 조선에 대해 끊임없이 세력을 뻗고 침략해오던 일본이 임오군란과 갑신정변을 계기로 조선의 종주권을 두고 서로 알력을 겨루게 됩니다.. 그러던 중 동학농민운동이 일어나면서 조선의 정부가 청나라에 원병을 청하면서 청나라 군대가 파병하자, 이에 맞서 일제가 그들의 공사관과 거류민을 보호한다는 구실로 군대를 파견하면서 양국의 알력은 더욱 심해지게 됩니다. 그리하여 1894년 7월 25일에 풍도 앞바다에서 일제군이 청에 대해 전쟁을 일으키게 되는데,,,청일전쟁은 일본의 승리로 끝이나고 청나라는 랴오둥 반도, 대만, 팽호 군도 등을 일.. 2017. 10.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