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탐사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hypopituitarism) 원인과 특징

by show쇼 2017. 12. 27.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hypopituitarism) 원인과 특징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hypopituitarism)은 뇌하수체 자체의 종양이나 뇌하수체 주변의 종양이 뇌하수체를 압박하거나 선천적인 뇌하수체의 기능저하로 뇌하수체 전엽 호르몬의 분비가 저하될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뇌하수체 종양의 경우 종양이 시신경을 압박하면서 시력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며, 뇌압상승에 따른 두통이 극심해지고 분비가 저하된 호르몬에 따라 다양한 증상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특히, 청소년기에의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은 성적 발육이 저지되며, 갑상선자극 호르몬의 분비 저하로 갑상선기능 저하증이 나타나며, 부신피질 자극 호르몬의 분비저하는 에디슨 병을 초래하기도 합니다.





성장 호르몬의 선천성 결핍은 난장이증을 초래할 수 있는데 정신기능장애는 없으나 신장이 작고 성적 발육이 저지되게 됩니다.






Simmond's disease는 후천적으로 나타나는 범발성 뇌하수체 기능 저하증으로 원인은 출산으로 인한 산과적 출혈 후 뇌하수체가 괴사를 일으키면서 발생하게 됩니다.

Simmond's disease가 발생한 산모는 유즙 분비 또는 월경기가 제 주기로 돌아오지 않는 경우도 있으며

임상검사에서는 갑상선과 부신의 기능부전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